연세본병원
연세본병원 척추ㆍ관절 클리닉은 비수술치료와 수술치료를 조화롭게
환자에게 맞는 최적의 치료를 제공합니다.

언론속 연세본병원

[이투데이] “무릎 연골판 파열인데 통증 없어”…수술 꼭 해야 할까

INFO
작성자 관리자 (IP: *.130.5.114) 날짜 2024-08-12

실제로 반월상 연골판 파열로 인한 통증은 며칠간 진통제를 복용하고 주사 치료를 받으면 상당수 호전된다. 그래서 환자들은 수술을 꼭 해야 하는지, 수술 안해도 괜찮은지 고민이 된다. 이때 도움이 될 만한 기준은 ‘봉합수술이 필요한가, 아니면 절제술이 필요한가?’다.

박영식 연세본병원 원장은 “반월상 연골판 뒤쪽에 뼈와 붙어 있는 부위가 끊어지면 나머지 부위가 붙어 있더라도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”며 “이때는 통증이 없더라도 빨리 뼈와 붙이는 봉합수술을 시행해 원 상태로 되돌려놔야 한다”고 말했다.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1~2년 이내에 퇴행성관절염이 급격히 진행돼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.

하지만 수술하더라도 반월상 연골판의 쿠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없는 상태라면 수술을 조금 미뤄도 괜찮다고 조언했다. 박 원장은 “반월상 연골판이 너덜너덜하게 찢어지면 봉합할 수 없고 아예 들어내는 절제술을 시행해야 한다”면서 “반월상 연골판을 모두 걷어내면 미약하게나마 남아있던 쿠션 기능이 완전히 소실된다”고 말했다.

특히 퇴행성관절염 초·중기에 들어선 중년 이후 환자가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을 하면 관절염 증세가 급속도로 악화할 수 있다. 절제술 대신 연골 주사나 프롤로 주사 등 여러 주사 치료를 시도하고 물리치료, 도수치료, 근력 강화 운동 등을 꾸준히 하는 편이 낫다고 설명했다.

반월상 연골판 봉합이 아닌 절제가 고려되는 상황 중 빨리 수술받는 게 좋은 때도 있다. 박 원장은 “찢어진 반월상 연골판이 다른 부위에 계속 자극을 가해 통증이 반복되는 상태일 때는 빨리 수술을 받아야 한다”면서 “약을 먹어도 잘 낫지 않고, 나았다가도 6~12개월간 통증이 지속될 수 있다. 이때는 찢어진 부위가 기점이 돼 다른 부위까지 더 찢어지게 만들면서 통증이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찢어진 부위를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을 다듬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”고 당부했다.

....

 

[기사 원문보기] 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 

“무릎 연골판 파열인데 통증 없어”…수술 꼭 해야 할까[e건강~쏙] - 이투데이 (etoday.co.kr)